[법학행정]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에 대하여 /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8:57
본문
Download :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에 대하여.hwp
이에 반해 미국의 경우는 연방세법에서 과세유예대상인 회사재편의 하나로써 사실상의 회사분할이 포함되어 있을 뿐1)이어서, 회사법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분할제도는 대륙법체계에서 由來하는 제도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분할제도는 프랑스 상사회사법, EU의 관련지침 및 독일의 기업재편법을 모델로 삼아 입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분할제도를 그 모델이 된 유럽연합지침 내지 유럽연합 회원국의 여러 나라의 규정과 비교할 경우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노동법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유럽연합지침과 회원국은 분할을 통해 야기될 수 있는 노동법적인 문제를 함께 의식하면서 이에 대한 해결대안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입법화한 반면에, 우리의 분할제도는 이 제도들을 모델로 하여 입법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특별한 규율 등은 전혀 고려함이 없이 입법화되었다는 점이다.
설명





법학행정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에 대하여 /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 검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 검토 1. 분할제도의 도입과 노동법적 문제...
[법학행정]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에 대하여 /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 검토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 검토 . 분할제도의 도입과 노동법적 문제에 대한 고려 주식회사 분할은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근래에 도입한 새로운 상법상의 제도이다. 애초에 상법상 합병의 포괄적 승계효과(效果)규정이 피합병회사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근로관계까지를 함께 포함하여 규율한...
Download :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에 대하여.hwp( 74 )
순서
회사분할에 따른 노동법적 문제 검토 1. 분할제도의 도입과 노동법적 문제...
다. 왜냐하면 회사분할제도를 입법화함에 있어서 우리의 입법자는 노동법적인 문제가 수반됨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하여 명시적인 언급 없이 기존의 입법형태에 따라 규율하였다는 것은, 명백한 법률의 흠결로서가 아니라 어떤 구체적인 입법자의 의사가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3) 이는 회사분할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노동법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해석방법론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밖에 없다. 비교입법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회사의 분할제도는 프랑스 상사회사법에서 기원하며, 이를 모델로 한 유럽연합 제6차 지침에서 회원국 회사법의 동질화의 목적에서 동 제도를 수용하도록 하였고, 이에 따라 독일을 위시한 다른 회원국들도 동 제도를 국내법으로 수용하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