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작물 및 식량공급 상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6:49
본문
Download : 북한의 작물 및 식량공급 상황.hwp
북한의 작물 및 식량공급 상황에 대한 글입니다.
가을 감자의 재배 目標(목표)면적은 지난해와 같은 89,000ha이다.
금년의 옥수수 파종면적은 496,000ha로써 지난해와 동일하다(표 5). 북한 당국에 따르면 6월말까지 이 目標(목표)가 달성되었다고 한다. 이모작 감자의 경우 6월에 봄작물을 수확한 다음 보통 7월에 파종을 처음 한다. 벼와 옥수수를 이식하는 경우 6월 첫 주까지 작업을 완료하여야 한다. 북한 당국은 6월말까지 572,000ha에 이앙을 완료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것은 지난해 벼 재배면적에 비해 7% 가량 증가한 것이다. 감자 단작의 경우 4월과 6월 사이에 파종을 한다. 지금까지는 모든 것이 만족스럽게 진행되고 있다 금년의 재배目標(목표)는 7월에 달…(省略)
순서
설명
레포트/기타
북한의 작물 및 식량공급 상황
다.북한의작물및식량공급 , 북한의 작물 및 식량공급 상황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Download : 북한의 작물 및 식량공급 상황.hwp( 60 )
북한의작물및식량공급
1. 개 황
2. 2001년 식량 생산에 effect을 미치는 요인들
2.1 강우, 농업용수 및 기온
2.2 이식 상황
2.3 농자재
3. 2000/01 동계 및 춘계 생산 : 밀, 보리, 감자
4. 2000/01년의 식량 수급 상황
4.1 국내 공급
4.2 수입
4.3 식량 이용
4.4 수정된 곡물수급표
5. 2001년의 주작물 생산 조기 展望
5.1 작물면적
5.2 작물 展望
6. 식량 지원 necessity 과 식량 지원의 역할
6.1 개별 가구의 식량 이용 정도
6.2 영양 필요량 평가
6.3 취약성 analysis과 식량 지원 目標(목표)
6.4 식량지원 배달 및 감시
벼, 옥수수, 감자는 6월초에 파종하여 보통 9-10월에 수확한다.






북한의 작물 및 식량공급 상황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금년에는 봄 가뭄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벼의 이앙과 옥수수의 이식이 6월말에야 완료되었다. 지난해에는 이앙기의 가뭄으로 45,000ha의 논이 다른 작물 재배에 이용되었다.
북한은 1999년 벼 식부면적인 580,000ha까지 벼 재배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금년 봄의 가뭄으로 인하여 벼 재배에 다소 불리한 8,000ha는 가뭄에 잘 견디는 수수와 조로 전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