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의 발달과정과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7:45
본문
Download : .hwp
이 이름은 항거하는 사람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들의 적에 의해 채택되었고 점차 종교개혁의 교의를 신봉하는 사람들, 그 가운데서도 특히 독일 밖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되었다. 1529년 4월 19일에는 독일의 14개 자유도시와 6명의 루터파 제후들이 대표가 된 이 결정에 대한 항의서가 발표되었다. 프로테스탄트라는 이름은 루터(1483경~1546)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스위스의 울리히 츠빙글리(1484~1531)의 제자들, 나중에는 장 칼뱅(1509~64)의 제자들도 일컫게 되었다. 또한 온 그리스도교를 포괄하는 공의회나 전독일민족의 총회를 개최할 것을 호소하였다. 독일의 종교개혁 신봉자들은 복음파(Evangelicals)라는 이름을, 프랑스에서는 위그노파(Huguenots)라는 이름을 선호하였다. 이 항의서는 자신들이 그 결정에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그 결정이 자신들을 구속할 수 없으며 하느님에 대한 복종과 황제에 대한 복종 가운데 어느 하나를 택할 수밖에 없다면 하느님에 대한 복종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선언하였다. 3. 독일 스위스 프랑스의 종교개혁
미국 history(역사) 와 프로테스탄트 : F. H. 리델, 이성혜 역, 심지, 1983
Protestantism in Transition : Charles W. Kehley, 1965
ChristendomThe Christian Churches, Their Doctrines, Constitutional Forms, and Ways of Worship : Einar
종교 개신교 한국의개신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7. 한국의 개신교
The Sociology of Protestantism : Roger Mehl, 1962(reissued 1986)





2. 중세 후기 교회의 상황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M. Weber, 권세원·강명구 공역, 일조각, 1981
The Spirit of Protestantism : Robert McAfee Brown, 1961(reissued 1974)
개신교를 가리키는 프로테스탄티즘(Protestantism)이라는 말이 처음 쓰이게 된 것은 1529년 슈파이어 의회에서였다. 이 회의에서 로마 가톨릭 계열의 독일 제후들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카를 5세와 함께 3년 전 마르틴 루터의 추종자들에게 허락하였던 관용정책의 대부분을 무효화하였다.
종교 개신교 한국의개신교 / 종교개혁사 : 토머스 M. 린제이, 이형기·차종순 공역, 대한예수교장로회, 1990
6. 개신교가 근대세계에 미친 影響(영향)
Protestantism : Martin E. Marty, 1972(reissued 1974)
8. 참고한 문헌 개신교 운동의 history
종교 개신교 한국의개신교 / 종교개혁사 : 토머스 M. 린제이, 이형기·차종순 공역, 대한예수교장로회, 1990 개혁주의신학과 교회 : 이근삼,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개신교사회론입문 : H. H. 슈라이, 손규태 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미국 역사와 프로테스탄트 : F. H. 리델, 이성혜 역, 심지, 1983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M. Weber, 권세원·강명구 공역, 일조각, 1981 프로테스탄트 신학개요 : 윌리엄 호던, 이정욱 역, 대한기독교서회, 1968 The Old Reformation and the NewEssays on the Reformation Heritage : B.A. Gerrish, 1982 Protestantism : Martin E. Marty, 1972(reissued 1974) Protestantism in Transition : Charles W. Kehley, 1965 The Radical Reformation : George H. Williams, 1962 The Sociology of Protestantism : Roger Mehl, 1962(reissued 1986) American Protestantism : Winthrop S. Hudson, 1961(reprinted 1972) The Spirit of Protestantism : Robert McAfee Brown, 1961(reissued 1974) ChristendomThe Christian Churches, Their Doctrines, Constitutional Forms, and Ways of Worship : Einar
프로테스탄트 신학개요 : 윌리엄 호던, 이정욱 역, 대한기독교서회, 1968
5. 교의 예배 조직 : 종교 개혁자들과 그 후계자들의 공통된 원리와 관행
The Radical Reformation : George H. Williams, 1962
Download : .hwp( 71 )
개혁주의신학과 교회 : 이근삼,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설명
개신교의 발달과정과 영향
4. 20세기의 개신교
American Protestantism : Winthrop S. Hudson, 1961(reprinted 1972)
The Old Reformation and the NewEssays on the Reformation Heritage : B.A. Gerrish, 1982
1. 개신교 운동의 history
개신교사회론입문 : H. H. 슈라이, 손규태 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다. 스위스의 종교개혁자들과 그의 추종자들, 특히 17세기 이후 네덜란드·잉글랜드·스코틀랜드의 추종자들은 개혁파(Reformed)라는 이름을 더 좋아했다. 이 항의서를 작성한 사람들은 프로테스탄트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